매번 새로운 도전을 하는 일, 그 중심에 KAIST 실패연구소가 있습니다.
총 게시물 수 : 69개
2023-12-22
이윤서 | KAIST 전자및전기공학부
2023 KAISTian Story 에세이 공모전 수상작 - 극복상 이윤서 | KAIST 전자및전기공학부 우선 실패를 경험하면, 어쩔 수 없이 실패의 쓰라림을 맛보게 된다. 하지만 쓰라림을 충분히 겪고 난 뒤에는 슬픔이라는 감정을 나와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핵심은 실패를 하나의 관찰 대상처럼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는 용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하지만 제자리에 서서 실패를 바라보고만 있는 것은 본인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실패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그 실패와 ‘함께 걸어가겠다’는 마음가짐은 제자리에 서서 바라보고만 있는 것과는 극명한 차이가 있다. 아직도 나는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서서 말하면 얼굴이 빨개지고 가슴이 미친듯이 두근거리며 손, 발, 목소리 모두 떨리는 것이 느껴진다. 하지만 그 순간에도 그런 나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며 관찰자의 입장에서 분석해 본 뒤 다시 묵묵히 걸어간다. 한 가지 확실한 점은 실패와 함께 걷기를 선택한 순간부터 조금씩 자신감에 찬 언어들을 뱉고 있는 나를 발견하고 있다는 것이다.
원본2023-12-22
Mammadova Fakhriyya | KAIST 전자및전기공학부
2023 KAISTian Story 에세이 공모전 수상작 - 배움상 Mammadova Fakhriyya | KAIST 전자및전기공학부 이제는 학습 과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건강한 자아상의 정립이 이미 정해진 어떤 목적지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재 진행형의 여정 전체를 아우르는 과정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며 나의 관점이 달라졌다. 과정 하나하나를 소중히 여기게 되었고, 취약성과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적 태도가 성장과 배움의 전제 조건임을 알게 되었다.
원본2023-12-11
구자복 | 트라이씨 심리경영연구소 공동대표
<실패의 심리학>시리즈 6 어떤 조직이 실패로부터 배우는가? 구자복 | 트라이씨 심리경영연구소 공동대표 도전과 실패의 결과가 안전할 수 있도록 제도와 정책에 반영되어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실천도 필요하다. 그래야만 제도를 넘어 점차 조직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다. 문화는 회사가 표방하는 구호나 이념보다 구성원들이 무엇을 경험하고 믿느냐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즉 구성원들은 조직에서 누가 승진하고, 누가 연봉을 더 받으며 누가 어떤 책임을 지는지 를 보면서 문화를 체득한다. 그리고 어떤 문화를 한번 받아들이면 이를 믿고 그 문화에 맞춰 생활한다. 문화의 본질은 구성원들이 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공유된 암묵적 믿음(무의식적 신념, 인식, 사고, 감정)으로 구성원들의 마음속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암묵적 믿음이 회사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로 작동한다
원본2023-12-11
안치영 | KAIST문화기술대학원
2023 KAISTian Story 에세이 공모전 수상작 - 배움상 안치영 | KAIST문화기술대학원 인생이 항상 물 흘러가듯이 순탄하게 갈 수만은 없다. 그럼 무슨 재미인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때로는 파도가 치고, 물결이 바람에 일렁이는데, 인간의 인생 또한 자연스럽게 변화하고 다채로운 모습의 형상이 떠오르는 것이 아닐까? 본인의 삶이 180도로 돌아가고 뒤집히는 순간은 앞으로도 많을 것이다. 인생의 굴곡진 부분까지 포용하고 받아들이면서 그 순간을 굳은 의지와 긍정적인 마음 가짐으로 살아가야 더욱 보람차고 알찬 한 번 사는 인생을 행복하게 누릴 수 있지 않을까?
원본2023-12-11
Nengroo Sarvar Hussain | KAIST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2023 KAISTian Story 에세이 공모전 수상작 - 배움상 Nengroo Sarvar Hussain | KAIST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대학은 이미 대학원생이 엄격한 연구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도록 교육하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서적 회복력에 관심을 갖는 학교는 많지 않다. 대학이 학업 문화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학생들이 잠재적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고, 여기에 필요한 대처 전략을 익힐 수 있게 교육하는 과정에서 정서적 회복력을 갖춘 준비된 학생/학자를 양성하는 첫걸음을 내디딜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모든 학생의 포괄적 성장을 중요시하는 더욱 건전한 학업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원본2023-12-11
신지은 |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실패의 심리학>시리즈 5 어떤 사람이 실패로 부터 배우는가? 신지은 |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왜 실패로부터 배우는 것이 중요한가? 실패로부터 얻는 교훈은 성공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질적으로 다른, 고유한 특성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성공 경험 간에는 많은 공통점이 있는 반면, 실패 경험들은 그 원인이나 현상이 제각각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패로 인한 배움은 우리 삶을 더 풍성하고 균형 있게 만들어 줄 수 있다. 게다가 실패로부터 배우는 데 실패하는 것은 단지 개인의 학습을 저해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사람들은 타인으로부터 많은 정보를 얻고 이를 통해 배우는데, 개인이 실패로부터 배우지 못한다면 이에 내포된 교훈이 사회로 전달될 수 없기 때문이다. 사회 전체가 실패로부터 배울 기회를 잃게 되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개인의 실패는 사회적 자산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를 포용하고 적극적으로 공유하는 문화는 공동체 성장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다.
원본2023-12-11
Sean Tristan De Guzman | KAIST 기계공학과
2023 KAISTian Story 에세이 공모전 수상작 - 도전상 Sean Tristan De Guzman | KAIST 기계공학과 제가 경험을 통해 얻은 최고의 교훈은 ‘되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내가 되고자 하는 결단력과 의지만 있다면 누구나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어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의지력과 현실성이 적절히 조화를 이룰 수 있다면 더 높은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원본2023-12-11
Syed Sheraz Ali | KAIST 기계공학과
2023 KAISTian Story 에세이 공모전 수상작 - 도전상 Syed Sheraz Ali | KAIST 기계공학과 밝은 미래와 만족스러운 삶의 목표, 성공, 비전을 정하는 힘은 우리 개개인의 손에 달려 있다. 마음먹은 모든 일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인생의 고통과 어려움에도 계속해서 웃음을 유지할 수 있는 힘이 있어야 한다. 내 외부 세상이 비록 아름다워 보일지라도 내면의 빛은 우리가 진정으로 나아가야 하는 길을 비추어 준다.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성공을 위해 노력하라. 학생 또는 직장인이 겪는 걱정이나 부담으로 생각이 지배될 수 있지만 진정한 인생의 여정은 졸업 이후에 시작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졸업 이후 커리어를 결정하고, 가정을 꾸리고, 더 큰 성공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더 큰 책임을 맡게 된다. 과거 또는 앞으로 겪을 모든 실패와 좌절 속에서도 모든 일몰 이후 새로운 일출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원본2023-12-11
한민 |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겸임교수
<실패의 심리학>시리즈 4 예정된 실패를 부르는 마음의 습관 한민 |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겸임교수 지난 수십 년 동안 한국 사회가 이뤄낸 성취는 한국인들이 끊임없이 더 나은 삶을 추구해 온 결과였다. 개인적 수준에서도 마찬가지다. 높은 자존감과 적절한 수준의 긍정적 환상은 정신건강에 실제로 도움이 되며, 좌절과 실패에서 자신을 스스로 일으킬 탄력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사실이 아닌 내용을 지나치게 믿는 것은 망상이다. 망상은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삶마저 심각하게 위협하는 심각한 병리적 증상이다. 나는 가치 있는 존재이고, 노력하면 충분히 성공할 만한 사람이라는 믿음은 중요하다. 그러나 그 믿음이 내가 다른 이들보다 항상 성공적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나보다 더 성공한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 세상이 잘못되었거나 내가 실패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원본2023-12-11
정혜인 |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2023 KAISTian Story 에세이 공모전 수상작 - 대상 정혜인 |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만물이 공하다, 실패나 성공은 인식에 달렸다는 것은 자기합리화를 하거나 현실에 안주하며 노력하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다. 부정적인 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라는 뜻도 아니다. 세상에는 절대적으로 긍정적인 일도, 부정적인 일도 없다는 뜻이다. 공한 존재를, 특히 내가 바꿀 수 없는 일을 "이것은 당연히 실패"라고 규정하고 스스로를 괴롭히지 말자는 이야기일 뿐이다. 이미 일어난 일을 성공으로 인식할지, 실패로 인식할지는 나에게 달려 있다. 그래서 나는 나에게 일어난 모든 일, 특히 원하지 않았던 일들도 나름대로 성공이고 경험이라고 여기며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려 노력한다. 중학교 때 바닥이었던 성적을 올린 것은 ‘실패 후 성공’이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연속적인 경험이었다고 생각한다.
원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