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번 새로운 도전을 하는 일, 그 중심에 KAIST 실패연구소가 있습니다.
총 게시물 수 : 69개
2023-04-05
안혜정 ┃ KAIST 실패연구소 연구조교수
“Failure Deprived”, 문제는 오히려 실패의 부족 : 미 대학의 회복력 강화 프로젝트 회복탄력성에 주목한 대학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미국의 몇몇 대학들은 이 문제에 학교가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중요하게 인식했다. 첫 시작은 코넬대학교였다. 2010년 학생들의 잇따른 자살에 충격을 받은 코넬 대학은 “학생들이 삶의 기술을 배우도록 돕는 것이 대학의 의무”라고 선언했다. 잇따라 스탠퍼드, 하버드, 프린스턴, 펜실베이니아 대학 등에서 구성원들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경쟁적인 문화에서 자라온 많은 우수한 학생들이 자연스러운 실패의 학습경험으로부터 멀어졌다는 현실을 직시하고, 대학이 그것을 교정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데에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시작된 프로그램들은 공통으로 실패가 자연스럽고 흔한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하는 한편 개개인이 좌절과 실패를 성찰하고 그로부터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나아가 실패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대학이 가진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 구성원들이 실패와 스트레스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원본2023-04-05
KAIST 실패연구소
빠르게 실패하기 Fail fast, Fail Often 존 크럼볼츠, 라이언 바비노 지음 도연 옮김 스노우폭스
원본2023-03-29
안혜정 ┃ KAIST 실패연구소 연구조교수
지난 12월 실패연구소는 실패에 대한 KAIST 구성원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KAIST 구성원 실패인식조사>에서는 구성원 개인의 ① 실패의 두려움(fear of failure) 정도, 실패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도전을 촉진하는 심리적 역량인 ② 심리적 자본(psychological capital)의 수준을 측정하는 한편, KAIST가 얼마나 구성원들의 실패를 용인하고 실패를 통해 배울 수 있는 문화를 가지는지 확인하는 ③ 심리적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과 ④ 실패학습문화(failure learning behavior) 등의 척도를 조사했다. 실패연구소는 해당 지표를 매년 정례적으로 조사하여 변화추이를 살펴보는 것을 통해 실패 인식 개선 및 캠퍼스 문화 조성의 성과측정치로 활용할 계획을 밝힌바 있다. 그 첫 번째 시도인 이번 조사는 2022년 12월 27일부터 2023년 1월 9일까지 약 2주간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약 700여 명의 구성원이 조사에 참여했다. 최종적인 결과 분석에 사용된 응답의 수는 609개였으며 여기에는 학부생 152명(25%), 대학원생 295명(48.4%), 교수 40명(6.6%), 직원 122명(20%)의 응답이 포함되었다. 본 고에서는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를 소개한다.
원본2023-03-29
KAIST 실패연구소
두려움없는 조직 The Fearless Organization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다산북스
원본2023-01-27
안혜정 ┃ KAIST 실패연구소 연구조교수
스페이스X 초창기 기록 『리프트 오프』, 토스의 10년 도전기를 담은 『유난한 도전』 북리뷰 항공우주산업의 지형을 바꾸며 민간 우주개발의 선두주자로 우뚝 선 스페이스X와 국내 첫 번째 핀테크 유니콘 기업으로 소비자의 금융 경험을 획기적으로 혁신하고 있는 토스팀의 이야기를 기록한 책이 2022년 국내에 나란히 출간되었다. 모두가 불가능할 것이라고 여겼던 일에 도전해,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을 갔던 두 기업이 때로 부딪히고 실패하고 좌절하면서도 끊임없이 자신을 스스로 증명해 낸 과정을 다룬 기록들이다.
원본2023-01-27
OOO KAIST 생명과학과
2022년 실패연구소 에세이 공모전 ‘나의 실패 이야기’ 수상작 연재 OOO KAIST 생명과학과 이후 나는 ‘이 세상에 실패라는 게 있는 걸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결과를 가지지 못한다면 모두 실패에 속하게 되는 걸까? 모든 시도엔 결과가 따르고 거기엔 모두 나 를 성장시킬 요소들이 존재하는데, 그렇다면 앞서 좌절 후 회피해버린 것들은 실패라고 불러야 하는 걸까? 무엇이 실패인가. 누군가는 내가 적은 나의 일화를 보며 실패 축에도 끼지 못하는 이야기를 실패랍시고 적었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 누군가는 내가 실패를 잘 딛고 일어서서 용기를 내었고 이만한 성취를 거두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실패’라는 말 자체가 지극히 주관적이기 때문이다. 나는 ‘실패’했는가? 그렇게 묻는다면 난 단호하게 말할 수 있다. 나는 ‘실패’한 적이 없었다. ‘시도’와 ‘좌절’, 그리고 그에 맞설 ‘힘’과 ‘용기’가 있었을 뿐이다.
원본2023-01-27
OOO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2022년 실패연구소 에세이 공모전 ‘나의 실패 이야기’ 수상작 연재 OOO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나에게 있어 연애는 참 어려운 것 같다. 처음 남자친구를 사귀었을 때는 내가 일상 생활에 충실하지 못할 정도로 감정적이었다. 어떻게 연애를 해야 그 친구와 사귀면서 내 삶도 충실할 수 있었을지 그 방법을 알았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대학에 와서 누군가와 연인으로 발전하기 전의 친한 사이로 지낼때는 그 상대가 나한테 고백을 왜 안 했는지, 내가 고백했으면 사귀는 사이가 되었을지, 과연 특별한 사이였기는 했는지 잘 모르겠다. 국어, 영어, 수학, 전공 과목은 학교에서 배울 기회가 충분히 많은데 연애는 어떻게 해야 되는 건지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은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연애도 잘할 수 있도록 누군가가 나에게 가르쳐주었으면 좋겠다.
원본2022-12-29
최진 / KAIST 전산학부
2022년 실패연구소 에세이 공모전 ‘나의 실패 이야기’ 수상작 연재 최진 / KAIST 전산학부 이 글을 읽은 모든 사람들에게 물어보고 싶다. 당신이 지금 살아가고 있는 그 인생, 성공한 인생인가? 1등은 한 명 뿐이니, 아마 대부분 아니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면 다시 한 번 질문을 바꿔서 생각해보자. 당신을 가장 행복하고 보람차게 만들어주는 활동은 무엇이며, 그 활동을 계속 하며 살아가고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당신은 당당하게 “나는 성공한 삶을 살고 있어.”라고 대답해도 좋다. 하지만 만약 아니라면, 지금 당장 의자에서 일어나서 세상 밖으로 나가 그 활동을 시작해보아라. 아무리 현재의 것을 포기해야 하더라도, 세상을 떠나기 전 자신이 평생 우물 안의 벽돌들만 쳐다보며 살았던 개구리였던 것을 인정하기 싫다면 말이다.
원본2022-12-29
Na Xu /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
2022년 실패연구소 에세이 공모전 ‘나의 실패 이야기’ 수상작 연재 Na Xu /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 실패는 아버지 같다. 항상 편안하지는 않지만 내일은 오늘보다 나을 것이기 때문에 안전감을 준다. 실패는 아버지 같다. 내가 약하고 어릴 때 실패는 강하지만 내가 성장하고 능력을 키운 뒤 실패는 내게 설득된다. 실패는 아버지 같다. 항상 곁에 있지만 넘어졌을 때 바로 일으켜 세워주지 않는 대신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가르침을 준다. 실패는 아버지 같다. 항상 엄격하지만 내가 어려움을 극복해낸 순간에 웃어준다. 실패는 아버지 같다. 무엇이든 맞설 수 있는 강한 마음을 준다. 실패는 아버지 같다. 영원히 함께 하지 않지만 내게 항상 기억될 것이다. 실패는 아버지 같다. 내가 누구인지를 형성한다.
원본